인체상해사고
인체상해사고
FORENSIC ENGINEERING TECHNOLOGY LAB.
인체상해사고
FORENSIC ENGINEERING TECHNOLOGY LAB.
인체 상해 사고 원인 분석은 크게 교통사고 및 추락사고 등과 같이 대상물과 피대상체의 속도와 충격으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충격량과 모멘트 등을 분석하는 휴먼 Multibody 모델을 이용한 다물체 동역학(Multi-body Dynamics) 해석과 이로 인해 생기는 부하에 따라 인체 내부 장기 및 골격 등에 나타나는 응력과 변형 및 파단 상태 등의 손상현상을 분석하는 유한요소법등을 이용한 정적구조해석 등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다물체 동역학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MADYMO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고 재현 방법이 현재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은 실제 인체와 같은 강성을 가진 휴먼모델을 적용함에 따라 정확한 인체 충돌거동을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고 부하를 산출하여 교통사고 및 추락사고시 상해를 입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인체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인체 상해 사고에 대한 신뢰성 높은 사고재현결과를 현재 제공한다. 하지만 다물체 동역학에서 적용되는 휴먼 모델은 Multibody 모델로 내부 장기 및 뼈를 포함한 골격 등에 관해서는 형상 및 물성치 등이 제공되지 않기에 인체 자체 손상 정도와 형태 등을 관찰하는데 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고로 앞서 언급한 인체 자체 손상 분석을 위해서는 ADINA 등의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별도로 필요하며, 지금의 추세는 다물체 동역학 해석에서 우선 인체 충격량 등을 산출한 후 이를 구조해석 입력 부하로 적용하여 골격 파단 등의 인체 손상 상태 등을 재현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인체 상해 평가에 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