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언론보도

  • Read Level:1
  • Write Level:5
  • Upload Size:1Mb

[단독][건설업계의 민낯]②“레버 살짝만 닿아도 브레이크 풀려…다른 안전장치 없었다”

페이지 정보

본문

당시 국과수 감정 맡은 김의수 교수 

[단독][건설업계의 민낯]②“레버 살짝만 닿아도 브레이크 풀려…다른 안전장치 없었다”

김의수 한국교통대 안전공학과 교수(44·사진)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법안전실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5월 대우건설 수원 광교 현장에서 붕괴된 타워크레인의 감정을 맡았다. 그는 당시 노동청과 경찰 수사 결과에 대해 할 말이 많아 보였다. 특히 국과수 조사 결과를 외면한 채 기기 결함보다 운전자 과실에 무게를 둔 산업안전공단 조사에 기초해 수사가 진행된 데 의문을 갖고 있었다. 김 교수는 “사고 크레인의 조종 레버는 작은 외력에도 레버가 쉽게 작동하고 중립 상태 복귀 시에도 제대로 복귀되지 않는 결함을 갖고 있어 누가 운전하든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는 상태였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국과수 재직 시 천안함과 태안 유조선 사고 조사위원으로도 활약했다.

- 감정은 어떻게 했나.

“현장에 나가 관계자들을 만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 크레인 붕괴 원인을 감정했다. 크레인 타워 높이를 조절하는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태와 유압장치 등도 조사했다. 레버와 마그네틱 스위치, 브레이크 등은 분해 검사가 필요해 경찰에 요청해 받았다.”

- 기계적 문제는 어떤 것인가.

“레버를 살짝만 건드려도 브레이크 스위치가 자동으로 풀릴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몹시 위험한 작업인데 이런 구조라는 게 믿기지 않았다. 브레이크 풀림을 방지할 다른 안전장치는 정말 없냐고 현장 감정 때 몇번이나 물었던 기억이 있다.”

- 안전장치를 재차 확인한 이유는.

“텔레스코핑(타워 높낮이 조절) 작업 시 브레이크가 풀리면 지브(크레인 팔)가 선회해 사고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작동 중인 레버를 놓으면 중립으로 복귀해야 하나 사고 크레인 레버는 마모 등으로 완전히 중립으로 복귀되지 않는 결함도 발견됐다. 이 경우 운전자는 레버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 보고서에선 운전자의 동작 과정으로 브레이크가 풀릴 가능성도 언급했는데.

“조종석이 90도로 돌아가 있었다. 운전자가 밖으로 급하게 나가다 문제가 있는 레버를 자신도 모르게 툭 건드렸을 가능성을 말한 것이다.”

- 레버 결함이 없다면 실수로 건드려도 브레이크가 풀리진 않았을 것 아닌가.

“맞다. 모든 위험 기계는 설령 조작 실수를 해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또, 한 기능이 망가지면 그걸 대체할 다른 기능이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조종석이 90도로 돌아간 건 운전자가 급히 탈출해야 하는 당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지 않나?

“그렇다. 가능성이 있다.”

- 사고 크레인에서 작업한 경험이 있는 설·해체 기사들은 크레인 균형을 잡는 롤러가 유격이 심해 자꾸 한쪽으로 기울었고, 마스터가 잘 안 들어갔다고 증언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4130600055&code=940702#csidx9e00b9d5161a774a08870357686250b onebyone.gif?action_id=9e00b9d5161a774a08870357686250b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